React는 트리구조를 사용하여 DOM을 관리한다. 실제 DOM을 직접 컨트롤하는것이 아닌 VIrtual DOM이라는 중간 단계를 두어서 바뀐 상태만 Real DOM에 업데이트 한다. 우리가 입력하는 React 코드는 VirtualDOM을 변경하는것이고 바뀐 값만 React에서 RealDOM으로 처리한다.
React의 철학(?)과도 관련이 있다. 브라우저에서 DOM을 변경하려면 Reflow Repaint가 일어난다. 하지만 VirtualDOM은 브라우저에 그리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Reflow Repaint 작업이 일어나지 않아 더 빠르게 조작할수가 있다. 따라서 변경이 있는 부분만 Reflow Repaint가 일어나기 때문에 랜더링 속도를 향상 시킬수 있다.
뭘봐야할지 모르겠다 패스!!